로고
주요치수정도와 회전속도


구름베어링 주요치수에 대한 허용차 및 허용치와 회전정도는 JIS B1514(구름베어링의 정도)로 규정되어 있으며, 허용차 및 허용치는 각각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구름베어링 정도 등급에는 보통 정도인 JIS 0급 이외에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JIS 6X급 (테이퍼로울러베어링), 6급, 5급, 4급, 및 2급이 있고, 2급이 JIS에서는 가장 고정도이다. 이들의 정도는 ISO규격에 준하고 있다.

베어링 형식 적용정도등급
깊은홈볼베어링 JIS 0급 JIS 6급 JIS 5급 JIS 4급 JIS 2급
앵귤러볼베어링 JIS 0급 JIS 6급 JIS 5급 JIS 4급 JIS 2급
자동조심볼베어링 JIS 0급 JIS 6급상당 JIS 5급상당 - -
원통로울러베어링 JIS 0급 JIS 6급 JIS 5급 JIS 4급 JIS 2급
니이들로울러베어링 JIS 0급 JIS 6급상당 JIS 5급상당 - -
자동조심로울러베어링 JIS 0급 JIS 6급상당 JIS 5급상당 - -
테이퍼로울러
베어링
미터계 JIS 0급, 6X급 JIS 6급 JIS 5급 - -
인치계 ABMA
CLASS4
ABMA
CLASS 2
ABMA
CLASS 3
ABMA
CLASS 0
ABMA
CLASS 00




(참고)
ISO(1) Normal class Class 6 Class 5 Class 4 Class 2
DIN(2) P0 P6 P5 P4 P2
ANSI/
ABMA(3)
볼베어링 ABEC 1 ABEC 3 ABEC 5
(CLASS 5P)
ABEC 7
(CLASS 7P)
ABEC 9
(CLASS 9P)
로울러베어링 RBEC 1 RBEC 3 RBEC 5 - -
테이퍼로울러
베어링
CLASS 4 CLASS 2 CLASS 3 CLASS 0 CLASS 00

베어링 형식과 정도등급의 적용

비고 
(1) 국제표준규격
(2) 독일규격
(3) 아메리카 베어링 제조자 단체 규격

2 정도등급 선정

통상적인 용도에 있어서는 대부분 0급정도로 충분한 기능을 얻을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용도에 있어서는 5급, 4급 혹은 그 이상의 높은 정도의 베어링이 적합하다. 

다음 표에 베어링이 요구되는 성능, 사용조건에 따른 용도 예와 정도 등급을 참고로 정리하였다.

요구성능. 사용조건 용도 예 베어링용도등급의 적용예
회전체의 흔들림정도가 높게 요구되는 경우
VTR드럼스핀들
컴퓨터자기디스크 스핀들
공작기계주축
인쇄윤전기 롤
수직형선반 등의 회전테이블
냉연지지ROLL의 ROLL NECK
파라볼라안테나 선회자리
P5
P5, P4, P2
P5, P4, P2
P5
P5, P4
P4이상
P4이상
베어링의 회전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치과용 스핀들
자이로스코프
고주파 스핀들
과급기
원심분리기
제트엔진주축
CLASS 7P, CLASS 5P
CLASS 7P, P4
CLASS 7P, P4
P5, P4
P5, P4
P4이상
베어링의 마찰과 그 변동이 적은 것이 요구되는 경우
자이로짐발
서어보메카니즘
포텐시오메타
CLASS 7P, 4P
CLASS 7P, CLASS 5P
CLASS 7P

고정도베어링의 적용 예

.

1. 내륜 내경의 허용차 ( 단위 : ㎛ )

호칭베어링 외경

외경의 치수차

이상

이하

Class 4, 2

Class 3, 0

Class 00

(mm)

1/25.4

(mm)

1/25.4

76.200

3.0000

+13

0

+13

0

+8

0

76.200

3.0000

266.700

10.5000

+25

0

+13

0

+8

0

266.700

10.5000

304.800

12.0000

+25

0

+13

0

304.800

12.0000

609.600

24.0000

+51

0

+25

0

609.600

24.0000

914.400

36.0000

+76

0

+38

0

914.400

36.0000

1219.200

48.0000

+102

0

+51

0

 

2. 외륜외경의 허용차 및 내외륜 레이디얼 흔들림의 허용치 ( 단위 : ㎛ )

호칭베어링 외경

외경의 치수차

내륜의 레이디얼 흔들림 및
외륜의 레이디얼 흔들림

이상

이하

Class
4,2

Class
3, 0

Class
00

Class
4

Class
2

Class
3

Class
0

Class
00

(mm)

1/25.4

(mm)

1/25.4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3.0000

10.5000

+25

0

+13

0

+8

0

51

38

8

4

2

266.700

10.50000

304.800

12.0000

+25

0

+13

0

0

+8

51

38

8

4

2

304.800

12.0000

609.600

24.0000

+51

0

+25

0

51

38

18

609.600

24.0000

609.600

24.0000

+51

0

+25

0

51

38

18

914.400

36.0000

1219.200

48.0000

+102

0

+51

0

76

76

1219.200

48.0000

+127

0

+76

0

76

76

 

3. 조립폭 및 조합폭의 허용차 ( 단위 : ㎛ )

호칭베어링내경

단열 베어링의 조립폭의 치수차

초과

이하

Class 4

Class 2

Class 3

Class 0, 00

D≤508.000(mm)

D>508.000(mm)

(mm)

1/25.4

(mm)

1/25.4

101.600

4.0000

+203

0

+203

0

+203

-203

+203

-203

+203

-203

101.600

4.0000

304.800

12.0000

+356

-254

+203

0

+203

-203

+203

-203

+203

-203

304.800

12.0000

609.600

24.0000

+381

-381

+381

-381

+203

-203

+381

-381

609.600

24.0000

+381

-381

+381

-381

+381

-381

 

호칭베어링내경

복열 베어링의 조립폭의 치수차

초과

이하

Class 4

Class 2

Class 3

Class 0, 00

D≤508.000(mm)

D>508.000(mm)

(mm)

1/25.4

(mm)

1/25.4

101.600

4.0000

+406

0

+406

0

+406

-406

+406

-406

+406

-406

101.600

4.0000

304.800

12.0000

+711

+508

+406

-203

+406

-406

+406

-406

+406

-406

304.800

12.0000

609.600

24.0000

+762

+762

+762

-762

+406

-406

+762

-762

609.600

24.0000

+762

+762

+762

-762

+762

-762

 

호칭베어링내경

4열 베어링 (KV Type)의 조합폭의
치수차

초과

이하

Class 4,3

(mm)

1/25.4

(mm)

1/25.4

101.600

4.0000

+1524

-1524

101.600

4.0000

304.800

12.0000

+1524

-1524

304.800

12.0000

609.600

24.0000

+1524

-1524

609.600

24.0000

0

+1524

-1524

 
.

1. 내륜의 허용차, 허용치 및 외륜폭의 허용차, 허용치와 조립폭의 허용차 ( 단위 : ㎛ )

호칭베어링
내경
d(mm)

평면내 평균내경의
치수차
Δdmp

폄면내 내경부동
Vdp

평면내 평균내경의
부동
Vdmp

내륜(또는 외륜) 폭의 치수차
ΔBs (or ΔCs0

0급

6급

5급

0급

6급

5급

0급

6급

5급

0급,6급

5급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2.5

10

0

-8

0

-7

0

-5

6

5

4

6

5

3

0

-120

0

-140

10

18

0

-8

0

-7

0

-5

6

5

4

6

5

3

0

-120

-80

18

30

0

-10

0

-8

0

-6

8

6

5

8

6

3

0

-120

0

-120

호칭베어링
내경
d(mm)

내륜(또는 외륜)
폭부동
VBs (또는 VCs)

조립폭의
치수차
ΔTs

내륜의
레이디얼 흔들림
Kia

내륜의
옆흔들림
Sd

내륜의
액셜흔들림
Sia

0급
6급

5급

0급, 6급, 5급

0급

6급

5급

5급

5급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2.5

10

15

5

+120

-120

10

6

4

7

7

10

18

20

5

+120

-120

10

7

4

7

7

18

30

20

5

+120

-120

13

8

4

8

8

호칭베어링 내경
D(mm)

평며내 평균외경의 치수차

평면내 외경부동
VDp

베어링계열 E

베어링계열 EN

0급

6급

5급

0급

6급

5급

0급

6급

5급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6

18

+8

0

+9

0

+5

0

0

-8

0

-5

6

-5

6

5

4

18

30

+9

0

+8

0

+6

0

0

-9

0

-6

7

-6

7

6

5

30

50

+11

0

+7

0

+7

0

0

-11

0

-7

8

-7

8

7

5

호칭베어링
내경
D(mm)

평면내 평균외경의 부동
VDmp

외륜의 레이디얼 흔들림
Kea

네륜의 액셜 흔들림
Sea

외경면의 외경기울기
SD

0급

6급

5급

0급

6급

5급

5급

5급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6

18

6

5

3

15

8

5

8

8

18

30

7

6

3

15

9

6

8

8

30

50

8

7

4

20

10

7

8

8

 

1. 내륜 내경의 허용차, 허용치 및 회전정도의 허용치 ( 단위 : ㎛ )

호칭베어링
내경

평면내 평균내경의
치수차

평면내 내경부동

축궤도 받팀 또는 중앙궤도받침 및
하우징 궤도받침의 궤도 두께부동

0급, 6급, 5급

4급

0급, 6급, 5급

4급

0급

6급

5급

4급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18

0

-8

0

-7

6

5

10

5

3

2

18

30

0

-10

0

-8

8

6

10

5

3

2

30

50

0

-12

0

-10

9

8

10

6

3

2

50

80

0

-15

0

-12

11

9

10

7

4

3

80

120

0

-20

0

-15

15

11

15

8

4

3

120

180

0

-25

0

-18

19

14

15

9

5

4

180

250

0

-30

0

-22

23

17

20

10

5

4

250

315

0

-35

0

-25

26

19

25

13

7

5

315

400

0

-40

0

-30

30

23

30

15

7

5

400

500

0

-45

0

-35

34

26

30

18

9

6

500

630

0

-50

0

-40

38

30

35

21

11

7

630

800

0

-75

0

-50

40

25

13

8

800

1000

0

-100

45

30

15

1000

1250

0

-125

50

35

18

2. 하우징 궤도받침의 외경의 허용차, 허용치 및 조심자리 와셔 외경의 허용차 ( 단위 : ㎛ )

호칭베어링 외경 또는
조립자리외셔 호칭외경
(mm)

평면내 평균내경의 치수차

평면내 외경부동

조심자리와셔
외경의 치수차

평면자리형

조심자리형

0급, 6급,5급

4급

0급, 6급

0급, 6급, 5급

4급

0급, 6급

초과

이하

최대

최대

10

18

0

-11

0

-7

0

-17

8

5

0

-25

18

30

0

-13

0

-8

0

-20

10

6

0

-30

30

50

0

-16

0

-9

0

-24

12

7

0

-35

50

80

0

-19

0

-11

0

-29

14

8

0

-45

80

120

0

-22

0

-13

0

-33

17

10

-60

120

180

0

-25

0

-15

0

-38

19

11

0

-75

180

250

0

-30

0

-20

0

-45

23

15

0

-90

250

315

0

-35

0

-25

0

-53

26

19

0

-105

315

400

0

-40

0

-28

0

-60

30

21

0

-120

400

500

0

-45

0

-33

0

-68

34

25

0

-135

500

630

0

-50

0

-38

0

-75

38

29

0

-180

630

800

0

-75

0

-45

0

-113

55

34

0

-225

800

1000

0

-100

75

1000

1250

0

-125

250

1600

0

-160

3. 스러스트 볼베어링의 높이 및 중앙궤도받침의 높이 허용차 ( 단위 : ㎛ )

호칭베어링

평면자리형

조심자리형

높이 T, T2의
치수차

높이 T1의
치수차

높이 T3, T6의
치수차

높이 T5의
치수차

Normal, Class 6
Class 5. Class 4

Normal, Class 6
Class 5, Class 4

Normal
Class 6

Normal
Class 6

초과

이하

30

0

-75

+50

-150

0

-75

+50

-150

30

50

0

-100

+75

-200

0

-100

+75

-200

50

80

0

-125

+100

-250

0

-125

+100

-250

80

120

0

-150

+125

-300

0

-150

+125

-300

120

180

0

-175

+150

-350

0

-175

+150

-350

180

250

0

-200

+175

-400

0

-200

+175

-400

250

315

0

-225

+200

-450

0

-225

+200

-450

315

400

0

-300

+250

-600

0

-300

+250

-600

호칭베어링
내경

조심자리 와셔 부착

중앙궤도받침의
높이의 치수차
Bs

T4s or T8s

Tts

Normal
Class 6

Normal
Class 6

Normal, Class 6
Class 5, Class 4

초과

이하

30

+50

-75

+150

-150

0

-50

30

50

+50

-100

+175

-200

0

-75

50

80

+75

-125

+250

-250

0

-100

80

120

+75

-150

+275

-300

0

-125

120

180

+100

-175

+350

-350

0

-150

180

250

+100

-200

+375

-400

0

-175

250

315

+125

-225

+450

-450

0

-200

315

400

+150

-275

+550

-550

0

-250

4. 내륜의 허용차, 허용치 및 높이의 허용차 ( 단위 : ㎛ )

호칭베어링 내경

평면내 평균내경의 치수차

평면내
내경부동

참고

내륜의
옆흔들림

베어링 높이의
치수차

초과

이하

최대

최대

50

80

0

-15

11

25

+150

-150

80

120

0

-20

15

25

+200

-200

120

180

0

-25

19

30

+250

-250

180

250

0

-30

23

30

+300

-300

250

315

0

-35

26

35

+350

-350

315

400

0

-40

30

40

+400

-400

400

500

0

-45

34

45

+450

-450

5. 하우징 궤도받침의 허용차 ( 단위 : ㎛ )

호칭베어링 내경

평면내 평균내경의 치수차

초과

이하

120

180

0

-25

180

250

0

-30

250

315

0

-35

315

400

0

-40

400

500

0

-45

500

630

0

-50

630

800

0

-75

800

1000

0

-100

1. 내륜의 허용차 및 허용치 ( 단위 : ㎛ )

호칭베어링 내경

평면내
평균내경의
치수차

내경의 치수차

평면내
내경부동

평면내
평균내경부의
부동

Class 5P
Class 7P

Class 9P

Class 5P
Class 7P

Class 9P

Class 5P
Class 7P

Class 9P

Class 5P
Class 7P

Class 9P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최대

10

0

-5.1

0

-2.5

0

-5.1

0

-2.5

2.5

1.3

2.5

1.3

10

18

0

-5.1

0

-2.5

0

-5.1

0

-2.5

2.5

1.3

2.5

1.3

18

30

0

-5.1

0

-2.5

0

-5.1

0

-2.5

2.5

1.3

2.5

1.3

호칭베어링 내경

내륜(또는 외륜)폭의 치수차

내륜 폭부동

단품베어링

조합베어링

Class 5P

Class 7P

Class 9P

Class 5P
Class 7P
Class 9P

Class 5P
Class 7P
Class 9P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10

0

-25.4

0

-400

5.1

2.5

1.3

10

18

0

-25.4

0

-400

5.1

2.5

1.3

18

30

0

-25.4

0

-400

5.1

2.5

1.3

호칭베어링 내경

내륜 레이디얼 흔들림
Kia

내륜 액셜 흔들림
Sia

내륜 옆흔들림

Class 5P

Class 5P

Class 5P

Class 5P

Class 5P

Class 5P

Class 5P

Class 5P

Class 5P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최대

10

3.8

2.5

1.3

7.6

2.5

1.3

7.6

2.5

1.3

10

18

3.8

2.5

1.3

7.6

2.5

1.3

7.6

2.5

1.3

18

30

3.8

3.8

2.5

7.6

3.8

1.3

7.6

3.8

1.3

2. 외륜의 허용차 및 허용치 ( 단위 : ㎛ )

호칭베어링 내경

평면내평균외경의
치수차

외경의 치수차

평면내외경부동

Class 5P
Class 7P

Class 9P

Class 5P
Class 7P

Class 9P

Class 5P
Class 7P

Class 9P

개방형

시일,시일드형

개방형

개방형

시일,시일드형

개방형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18

0

-5.1

0

-2.5

0

-5.1

+1

-6.1

0

-2.5

2.5

5.1

1.3

18

30

0

-5.1

0

-3.8

0

-5.1

+1

-6.1

0

-3.8

2.5

5.1

2

30

50

0

-5.1

0

-3.8

0

-5.1

+1

-6.1

0

-3.8

2.5

5.1

2

호칭베어링 내경

외륜의 액셜흔들림

플렌지 외경의 치수차

플랜지폭의 치수차

약셜 흔들림

Class 5P

Class 7P

Class 9P

Class 5P
Class 7P

Class 5P
Class 7P

Class 5P
Class 7P

초과

이하

최대

최대

최대

최대

18

7.6

5.1

1.3

0

-25.4

0

-50.8

7.6

18

30

7.6

5.1

2.5

0

-25.4

0

-50.8

7.6

30

50

7.6

5.1

2.5

0

-25.4

0

-50.8

7.6

면취표면의 정확한 형상은 규정하지 않지만 액셜평면에 있어서의 그 윤곽은 내륜 또는 중앙륜의 측면과 베어링내경면, 혹은 외륜의 측면과 베어링 외경면과의 접하는 반경 r (최소) 또는 r1(최소)의 가상원호 밖으로 나가서는 안된다.

1. 레이디얼 베어링(테이퍼 로울러베어링은 제외)의 면취치수의 허용한계치 ( 단위 : ㎛ )

내륜,외륜의 최소허용
면취치수

호칭베어링 내경

내륜,외륜의 최대허용면취치수

축 또는 하우징의
모떼기의 반경

초과

이하

레이디얼방향

액셜방향

최대

0.05

0.1

0.2

0.05

0.08

0.16

0.3

0.08

0.1

0.2

0.4

0.1

0.15

0.3

0.6

0.15

0.2

0.5

0.8

0.2

0.3

40

0.6

1

0.3

40

0.8

1

0.6

40

1

2

0.6

40

1.3

2

1

50

1.5

3

1

50

1.9

3

1.1

120

2

3.5

1

120

2.5

4

1.5

120

2.3

4

1.5

120

3

5

2

80

3

4.5

2

80

220

3.5

5

220

3.8

6

2.1

280

4

6.5

2

280

4.5

7

2.5

100

3.8

6

2

100

280

4.5

6

280

5

7

3

280

5

8

2.5

280

5.5

8

4

6.5

9

3

5

8

10

4

6

10

13

5

7.5

12.5

17

6

9.5

15

19

8

12

18

24

10

15

21

30

12

2.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의 면취치수의 허용한계치 ( 단위 : ㎛ )

내륜,외륜의
최소허용 면취치수

호칭베어링
내경또는 외경

내륜, 외륜의
최대 허용 면취치수

축 또는 하우징의
모때기의 반경

초과

이하

레이디얼방향

액셜방향

최대

0.15

0.3

0.6

0.15

0.3

40

0.7

1.4

0.3

40

0.9

1.6

0.6

40

1.1

1.7

0.6

40

1.3

2

1

50

1.6

2.5

1

50

1.9

3

1.5

120

2.3

3

1.5

120

250

2.8

3.5

250

4

5

2

120

2.8

4

2

120

250

3.5

4.5

250

4

5

2.5

120

3.5

5

2

120

250

4

5.5

250

4.5

6

3

120

4

5.5

2.5

120

250

4.5

6.5

250

400

5

7

400

5.5

7.5

4

120

5

7

3

120

250

5.5

7.5

250

400

6

8

400

6.5

8.5

5

180

6.5

8

4

180

7.5

9

6

180

7.5

10

5

180

11

3. 스러스트 베어링의 면취치수의 허용한계치 ( 단위 : ㎛ )

내륜(또는 중앙륜),외륜의
최소허용면취 치수

내륜(또는 중앙륜), 외륜의
최대허용면취치수

축 또는 하우징의 모때기 반경

레이디얼 및 액셜방향

최대

0.05

0.1

0.05

0..08

0.16

0.08

0.1

0.2

0.1

0.15

0.3

0.15

0.2

0.5

0.2

0.3

0.6

0.3

0.8

0.6

1

0.6

1.3

1

1.5

1

1.9

1.1

2

1

2.5

1.5

2.3

1.5

3

2

3

2

3.5

3.8

2.1

4

2

4.5

2.5

3.8

2

4.5

5

3

5

2.5

5.5

4

6.5

3

5

8

4

6

10

5

7.5

12.5

6

9.5

15

8

12

18

10

15

21

12

19

25

15

1. 기준 테이퍼 대비 1/12 테이퍼 구멍 ( 단위 : ㎛ )

d(mm)

Δdmp

Δd1mp - Δdmp

Vdp

초과

이하

최대

18

30

+33

0

+21

0

13

30

50

+39

0

+25

0

16

50

80

+46

0

+30

0

19

80

120

+54

0

+35

0

22

120

180

+63

0

+40

0

40

180

250

+72

0

+46

0

46

250

315

+81

0

+52

0

52

315

400

+89

0

+57

0

57

400

500

+97

0

+63

0

63

500

630

+110

0

+70

0

70

630

800

+125

0

+80

0

800

1000

+140

0

+90

0

1000

1250

+165

0

+105

0

1250

1600

+195

0

+125

0

2. 기준 테이퍼 대비 1/30 테이퍼 구멍 ( 단위 : ㎛ )

d(mm)

Δdmp

Δd1mp - Δdmp

Vdp

초과

이하

최대

80

120

+20

0

+35

0

22

120

180

+25

0

+40

0

40

180

250

+30

0

+46

0

46

250

315

+35

0

+52

0

52

315

400

+40

0

+57

0

57

400

500

+45

0

+63

0

63

500

630

+50

0

+70

0

70

63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NSK와 상담하여 주십시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