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축과 하우징의 설계


축이나 하우징의 정도불량이 있는 경우 베어링도 그 영향을 받아, 필요한 성능을 발휘할 수가 없다.
예를 들면 설치부의 턱에 정도불량이 있으면, 베어링의 내륜.외륜간에 경사를 일으키고, 베어링하중 외에 모서리에 집중하중(edge load)이 가해지며, 베어링의 피로수명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리테이너의 파손, 타붙음 등의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 하우징은 외부하중에 의한 변형이 적고, 베어링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있는 것이 필요하다.
강성이 높을수록 베어링의 음향이나 하중배분등에 유리하다.

일반적인 사용조건으로는, 끼워맞춤면의 가공은 선삭가공 또는 정밀 보오링가공 등으로도 좋지만, 회전의 진동 또는 음향에 대한 요구가 엄격한 적용부위나 하중조건이 가혹한 경우에는 연삭가공이 필요하다.
일체형 하우징에 베어링을 2개이상 배열시킨 경우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은 관통구멍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분리형 하우징에서는, 두께가 얇은 외륜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가공상 주의가 필요하다.

항목 Bearing 등급 Shaft Housing 구멍
진원도 공차 0급, 6급

5급, 4급
~
~
~
~
원통도공차 0급, 6급

5급, 4급
~
~
~
~
턱의 흔들림 공차 0급, 6급
5급, 4급
IT3
IT3
IT3-IT4
IT3
끼워맞춤면의
거칠기 Ra
소형베어링
대형베어링
0.8
1.6
1.6
3.2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