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링을 축 또는 하우징에 설치해서 축방향에 위치를 결정할 경우 베어링측면이 접하는 축의 턱
또는 하우징의 내경턱은 축 중심에 대해서 직각으로 끝마무리 되어야만 한다. |
|
또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 정면측의 하우징 내경은 케이지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베어링
외경면과 평행하게 가공한다. 또 축 또는 하우징의 모서리 반경은 베어링의 모떼기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구석의 모서리 반경ra은 베어링의 모떼기치수r 또는 r1의 최소치를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한다. 레이디얼베어링에 대한 축의
어깨 및 하우징의 어깨의 높이는, 궤도륜의 측면에 충분히 접촉시키고, 또한 해체공구 등의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한다.
|
|
내륜 또는 외륜의 면취 치수
r
(최소) 또는 r1 (최소) |
축 또는 하우징 |
구석의 공굴린 반경
ra
(최대) |
어깨높이 h(최소) |
깊은홈볼베어링 자동조심볼베어링 원통로울러베어링 솔리드형니이들 롤러베어링
|
앵귤러볼베어링 테이퍼로울러 베어링 자동조심로울러 베어링
| |
|
0.05 |
0.05 |
0.2 |
- |
0.08 |
0.08 |
0.3 |
- |
0.1 |
0.1 |
0.4 |
- |
0.15 |
0.15 |
0.6 |
- |
0.2 |
0.2 |
0.8 |
- |
0.3 |
0.3 |
1 |
1.25 |
0.6 |
0.6 |
2 |
2.5 |
1 |
1 |
2.5 |
3 |
1.1 |
1 |
3.25 |
3.5 |
1.5 |
1.5 |
4 |
4.5 |
2 |
2 |
4.5 |
5 |
2.1 |
2 |
5.5 |
6 |
2.5 |
2 |
- |
6 |
3 |
2.5 |
6.5 |
7 |
4 |
3 |
8 |
9 |
5 |
4 |
10 |
11 |
6 |
5 |
13 |
14 |
7.5 |
6 |
16 |
18 |
9.5 |
8 |
20 |
22 |
12 |
10 |
24 |
27 |
15 |
12 |
29 |
32 |
19 |
15 |
38 |
42 | |
|
축 및 하우징의 구석의 공굴린 반경과 레이디얼 베어링에
대한 턱높이(미터계) 베어링의 설치관계치수는 이 턱의 높이를 고려한 직경으로 베어링치수표에 기재하였다. 특히 액셜하중을 부하하는
테이퍼로울러 베어링이나 원통로울러 베어링에서는 턱부위를 충분히 지지하는 턱의 치수와 강도가 필요하다. 또한 h및 ra의 값은, 축 또는
하우징의 구석의 공굴림이 그림과 같이 축을 연삭, 사상할 때의 피해주기 치수는 다음 표의 값에 의한다. |

축의 구석의 공굴린
치수와 형상
|
|
내륜 또는
외륜의 면취치수 r (최소) 또는 r1 (최소) |
피해주기치수 |
t (mm) |
rg (mm) |
b (mm) |
1 1.1 1.5 2 2.1 2.5 3 4 5 6 7.5 |
0.2 0.3 0.4 0.5 0.5 0.5 0.5 0.5 0.6 0.6 0.6 |
1.3 1.5 2 2.5 2.5 2.5 3 4 5 6 7 |
2 2.4 3.2 4 4 4 4.7 5.9 7.4 8.6 10 | |
스러스트베어링의 경우 와셔의 지지면을 충분하게 넓힐 필요가 있고, 지지면의 직각도
좋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