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베어링은 대부분의 경우 운전상테에 있어서 적당한 클리어런스를 갖고 사용된다.목적에 따라서는 베어링을 설치 했을 때, 부의 클리어런스가 되도록 미리 내부응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사용방법을 예압이라고 하며, 앵귤러볼베어링이나 테이퍼로울러베어링과 같이 2개를 마주보게 하고 클리어런스의 조정을 할 수 있는 베어링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정위치 예압과 정압예압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1) 예압량이 비슷한 경우, 베어링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정위치예압 쪽이 크다. 즉 베어링하중에 대한 변위량은 정위치예압쪽이 적다. (2) 정위치 예압에서는 운전중의 축과 하우징과의 온도차에 의한 액셜방향의 늘어남의 차, 내륜과 외륜과의 온도차에 의한 레이디얼 방향의 열팽창의 차, 하중에 의한 변위 등의 영향에 의하여, 예압량이 변화한다. 정압예압인 경우에는 축의 신축등에 의한 스프링 하중의 변화가 상당히 적기 때문에, 예압하중의 변화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강성을 높이는 목적에는 정위치예압이 적당하며, 고속 회전의 경우, 축방향의 진동방지가 필요한 경우, 횡축에서 스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하는 경우 등에는 정압예압이 적합하다.
예압량을 필요이상으로 크게 취하면, 이상발열, 마찰모멘트의 증대, 피로수명의 저하 등을 초래하므로, 사용조건, 예압의 목적 등을 고려해서 예압량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1) 조합앵귤러 볼베어링의 예압하중공작기계주축 등에 많이 상요되는 P5이상의 고정도 조합 앵귤러 볼베어링(접촉각 15°)의 평균예압하중을 표에 나타내었다.예압량의 기준치로서는 연삭스핀들이나 머시닝센타 주축 베어링 등에서는 통상 경압 또는 미소예압이, 강성이 필요한 선반 주축용 베어링에서는 중예압 정도가 일반적이다. 치(치)을 초과하는 고속회전일 때는 보다 엄밀한 검토를 통해 예압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2) 스러스트 볼베어링의 예압하중스러스트 볼베어링이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볼은 선회전미끄럼을 일으키기 쉽다. 볼이 선회전 미끄럼을 일으키지 않도록 필요한 최소 액셜하중은 다음 식 (1) 및 식 (2)에서 구한 값중에서 큰쪽의 값을 취한다. ------------- (1) ------------- (2)여기서, : 최소 액셜하중 : 기본정액셜정격하중 : 베어링의 회전속도() : 베어링의 허용회전수(오일윤활) ()
(3) 스러스트 자동조심 로울러베어링의 예압하중스러스트 자동조심 로울러 베어링은 사용중에 로울러와 외륜궤도면과의 미끄럼에 의해서 뜯김등의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 미끄럼을 일어나게 하지 않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최소 액셜하중은 다음 식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