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베어링의 예압


구름베어링은 대부분의 경우 운전상테에 있어서 적당한 클리어런스를 갖고 사용된다.
목적에 따라서는 베어링을 설치 했을 때, 부의 클리어런스가 되도록 미리 내부응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사용방법을 예압이라고 하며, 앵귤러볼베어링이나 테이퍼로울러베어링과 같이 2개를 마주
보게 하고 클리어런스의 조정을 할 수 있는 베어링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1. 정위치예압과 강성

조합베어링의 내륜을 축방향으로서 설치하면, 베어링 A 및 B는, 각각 만틈 변위해서 내륜간의 클리어런스 가 없어진다. 이 상태에서 예압 가 주어진 것이 된다. 이 예압된 베어링에 액셜하중가 가해진 경우의 베어링의 강성, 즉 하중과 변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압선도를 표시하였다.

2 정압예압과 강성


정압예압된 베어링의 예압선도이다. 예압스프링의 강성은, 베어링의 강성에 비교해서 일반적으로 아주 작기 때문에, 스프링의 변위직선은 거의 횡축으로 평행해진다. 따라서 정압예압의 강성은 베어링 단품에 미리 예압량의 액셜 하중을 가했을 경우의 단품베어링의 강성과 거의 비슷하다.
정위치예압, 정압예압된 베어링 및 베어링단품의 강성을 비교하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