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베어링 치수의 선정


베어링에 작용하는 하중은 경방향 하중과 축방향 하중이 단독으로 가해질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는 경방향 하중과 축방향 하중이 동시에 걸리는 합성하중일 때가 많고 그 크기와 방향이 변동할 때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베어링의 피로수명계산에 베어링에 걸리는 하중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여러 가지 회전조건이나 하중조건을 기초로 베어링이 실제로 받게 되는 피로수명과 같은 수명이 되도록, 크기가 일정하고 베어링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하중을 생각한다.이 가상하중을 동등가 하중이라 한다.

 1. 동등가하중의 산정

레이디얼 베어링의 동등가하중은

여기서,
 : 동등가하중
 : 경방향하중
 : 축방향하중
 : 경방향하중계수
 : 축방향하중계수

및 의 값은 베어링의 치수표에 기재되어 있다.
즉, 의 레이디얼로울러 베어링에서는 로 한다.

일반적으로 스러스트 볼베어링은 경방향하중을 받을 수는 없지만 스러스트 자동조심베어링은 다소의 경방향하중을 부하할 수가 있다. 이 경우의 동등가하중은 다음 식으로 구하여진다.

단, 

 
 2. 앵귤러 볼베어링 및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의 축방향 분력
앵귤러 볼베어링 및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 하중의 작용점은 그림과 같이 접촉선의 연장과 축중심선과의 교점이 된다. 작용점위치는 베어링치수표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형식의 베어링에 경방향하중이 작용하면 축방향의 분력이 생기므로 똑같은 형식의 베어링을 짝지워 사용한다. 
이 경우 축방향 분력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 축방향 분력
 : 경방향하중
 : 축방향하중계수


베어링Ⅰ, 베어링Ⅱ에 각각 경방향 하중 가 걸리고 외부에서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축방향하중가 작용한 경우를 생각한다. 
축방향하중계수를 각각 로 하고, 경방향하중계수를 로 하면,
동등가하중 는 다음식으로 구하여 진다.

 일때는 

 일때는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