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베어링의 취급

베어링 설치의 양부는 정도, 수명,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설계 및 조립부문에서 베어링의 설치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고, 작업표준에 따라 설치 작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표준의 항목은 보통 다음과 같다.

(1) 베어링 및 관계부품의 세정
(2) 관계부품의 치수 및 사상상황의 체크
(3) 설치
(4) 베어링 설치 후의 체크
(5) 윤활제의 공급 베어링의 포장은 설치 직전에 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그리스 윤활의 경우에는 베어링을 세정하지 않고, 그대로 윤활그리스를 충진한다. 오일윤활로 사용하는 경우라도 보통 세정할 필요는 없지만, 계기용 또는 고속에서 사용되는 베어링 등은 깨끗한 세정유로 씻어 베어링에 발라져 있는 방청제를 제거한다.
방청제를 제거한 베어링은 녹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그대로 방치해 두어서는 안된다. 또는 그리스 봉입 베어링은 세정하지 않고 사용한다.
베어링의 설치방법은 베어링 형식이나, 끼워맞춤의 조건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을 축회전의 경우가 많으므로, 내륜에는 억지끼워맞춤이 필요하다. 원통구멍 베어링에서는 프레스에 의한 압입이나 열팽창에 의한 끼워맞춤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테이퍼구멍의 경우, 테이퍼축에 직접 설치 또는, 슬이브를 이용해서 설치한다.
베어링의 하우징에의 설치는 일반적으로 헐거운 끼워맞춤이 많은데, 외륜에 간섭량이 있는 경우, 보통 프레스로 봉입시킨다. 베어링의 하우징에의 설치는 일반적으로 헐거운 끼워맞춤이 많은 외륜에 간섭량이 있는 경우 보통 프레스로 압입시킨다.
또 베어링을 냉각해서 설치하는 냉각끼워맞춤의 방법도 있는데, 이때 냉각제로 드라이아이스 등을 사용한다.
이때 베어링의 표면에는 공기중의 수분이 응결되므로, 적절한 방청처리가 필요하다.


1 원통구멍베어링의 설치
(1) 프레스 의한 압입방법
소형베어링에서는 프레스에 의한 압입방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첫 번째 그림)



내륜에 받침쇠를 대고 축의 턱에 내륜 측면이 밀착될 때까지 프레스로 조용히 밀어 넣는다.
외륜에 받침쇠를 대고 내륜을 설치하는 것은 궤도면에 압흔이나 긁힌 자국 등의 원인이 되므로, 절대로 피하여만 한다.
또한 작업을 실시할 때 끼워맞춤면에 오일을 발라두면 좋다. 부득이하게 햄머 등으로 두드려서 설치하는 경우, 받침쇠를 내륜에 대고 작업한다. 이 방법은 자주 베어링 손상의 원인이 되므로, 간섭량이 작은 경우에 실시하고, 간섭량이 큰 경우나 중형/대형의 베어링에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깊은홈 볼베어링과 같은 비분리형 베어링이고 내륜, 외륜 모두 억지끼워맞춤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 두 번째 그림에 표시한 것과 같은 받침쇠를 사용해서 나사나 유압으로 내륜, 외륜을 동시에 밀어 넣는다.
자동조심 볼베어링에서는 외륜이 기울기 쉬우므로 억지끼워맞춤 경우가 아니어도, 마찬가지로 받침쇠를 끼워 설치하면 좋다. 원통로울러베어링이나 테이퍼로울러베어링과 같은 분리형 베어링에서는 내륜, 외륜을 각각 축 또는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 따로따로 설치한 내륜 및 외륜을 조합할 때, 내륜, 외륜의 중심의 오차가 없도록 조용히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무리하게 밀어넣으면 전동면에 뜯김 손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2) 열팽창 끼워맞춤방법
대형베어링에서는 압입에 요구되는 힘이 크므로, 압입작업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오일중에서 베어링을 가열팽창시켜, 축에 설치하는 열팽창 끼워맞춤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에 다르면, 베어링에 무리한 힘이 들지 않고 단 시간에 작업을 할 수 있다.
베어링의 가열온도는 베어링의 치수 및 필요로 하는 간섭량 등으로부터 가열온도와 내륜의 팽창량 표를 참고로 해서 결정할 수가 있다.

열팽창 끼워맞춤 작업에 있어서의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a) 베어링을 120℃이상으로 가열하지 않는다.
(b) 오일통의 바닥에 직접 닿지 않도록 베어링을 철망 받침대에 올려놓든가, 매어달기 등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c) 작업 중의 내륜이 냉각되어, 설치가 곤란해지지 않도록 소요 온도보다 20℃~30℃ 높게 베어링을 가열한다.
(d) 설치 후, 베어링이 냉각되면 축방향으로도 수축되므로 내륜과 축의 어깨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지 않도록,
축너트나 그 외의 적당한 방법으로 밀착시켜 놓는다.
- NSK 베어링 히터(유도가열장치)
오일에 의한 열박음 방법 외에 전자유도 작용을 이용한 NSK베어링 히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NSK 베어링 히터는 여자 코일을 내장하고 있어 전류가 흐르면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피가열체(베어링)에 전류가 흐르고 그 자체 저항에 의하여 발열한다. 따라서, 불이나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단시간에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의 열박음 작업은 능률적으로 청결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연기의 롤넥크용, 철도차량의 차전용 등의 설치 및 해체를 비교적 많이 행하는 경우, 원통 로울러베어링에서는 내륜의 설치·해체에 NSK 전용 유도가열 장치를 이용하면 좋다.

2 테이퍼구멍 베어링의 설치

테이퍼구멍 베어링은 직접 테이퍼 축에 고정시키든가, 어댑터 또는 해체슬리이브(sleeve)를 사용해서 원통축에 설치한다.

대형 자동조심 로울러 베어링에서는 유압을 이용해서 설치작업을 행하는 경우와, 슬리이브에 오일구명을 설치해서 가압한 오일을 끼워맞춤면으로 이송시키면서 볼트로 슬리이브를 밀어 넣는 방법이다.

베어링의 치수가 커지면 축에 설치 했을 때 외륜이 자중등에 의해 타원상으로 변형된다.
변형베어링의 최하부에서 클리어런스를 측정하면 진클리어런스보다 크게 측정된다.

수평방향의 횡의 위치에서의 2군데 클리어런스 a, b와 최하부의 클리어런스 C와의 총합의 반을 잔류 클리어런스로 해도 좋다.
자동조심 볼베어링을 어댑터를 사용해서 축에 설치할 때는, 잔류클리어런스가 과소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외륜이 용이하게 조심될 수 있을 정도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야만 한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