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어링의 설치가 끝나면, 그 설치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운전검사를 실시한다. 소형베어링에서는 손으로 돌려 원활하게 회전하는지 확인한다. 조사항목은 이물질이나 긁힌자국,압흔등에
의한 걸림, 설치 불량, 설치자리의 가공불량등에 의한 회전토오크 클리어런스 감소, 설치오차, 시일의 마모등에 기인하는 토오크 과대 등이다.
이상이 없으면 동력운전을 실시한다.
대형기계에서는 손회전을 할 수 없으므로 무부하에서
시동하고, 곧 동력을 끊고 관성운전을 실시한다. 진동, 음, 회전부품의 접촉의 유무 등에 대해서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그 다음 동력운전에
들어간다. 동력운전은 무부하, 저속으로 시동하여 서서히 소정의 조건으로 올려 정격 운전에 들어간다. 시운전중의 조사항목은 이상음의 유무,
베어링온도의 추이, 윤활제의 누출이나 변색 등이다.
시운전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곧 운전을 중지하고 기계를
점검하는데 필요하다면 베어링을 떼어내고 점검한다.
베어링온도는 일반적으로는 하우징의 외면 온도로 추측할 수
있지만, 오일홈 등을 이용해서 직접 베어링 외륜의 온도를 측정할 수가 있다면 보다 더욱 적절하다. 베어링온도는 운전개시 후 서서히
상승해서 보통 1~2시간 내에 정상상태가 된다. 베어링이나 설치 등에 맞지 않는 점이 있다면 베어링온도는 급격히 상승해서 이상고온으로 되는 수가
있다. 그 원인으로서는 윤활제의 과다, 베어링클리어런스의 과소, 설치불량, 밀봉장치의 마찰과대 등을 들 수 있다. 또 고속회전의
경우에서는 베어링 형식이나 윤활방법의 선정의 착오등도 원인이 된다. 베어링의 회전음은, 청음기 등으로 조사한다. 높은 금속음이나 이상음,
불규칙음 등은 이상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그 원인으로서 윤활불량, 축.하우징의 정도불량, 베어링의 손상, 이물질의 침입 등이 있다. 상기의
이상현상에 관한 추정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는 표로 나타내었다. |
운전상태 |
추정원인 |
대책 |
소음 |
높은 금속음 |
이상하중 |
끼워맞춤의 수정, 베어링 클리어런스의 검토, 예압의 조정, 하우징 어깨위치 수정 등 |
설치불량 |
축. 하우징의 가공정도, 설치정도의 개선, 설치방법의 개선 |
윤활제의 부족, 부적합 |
윤활제의 공급, 적정한 윤활제의 선택 |
회전부품의 접촉 |
라비린스 등 접촉부분의 수정 |
규칙음 |
이물에 의한 구도륜에 생긴 압흔, 녹, 기스 |
베어링 교환, 관계부품의 세정, 밀봉장치의 개선, 깨끗한 윤활제의 사용 |
브리넬링 |
베어링 교환, 취급주의 |
궤도륜의 플레이킹 |
베어링 교환 |
불규칙음 |
클리어런스 과대 |
끼워맞춤 및 베어링 클리어런스의 검토, 예압량의 수정 |
이물의 침입 |
베어링 교환검토, 관계부품의 세정, 밀봉장치의 개선, 깨끗한 윤활제의 사용 |
볼의 기스, 플레이킹 |
베어링 교환 |
이상온도 상승 |
윤활제의 과다 |
윤활제를 줄여 적량화, 고체 그리스의 선택 |
윤활제의 부족, 부적합 |
윤활제의 보급, 적정한 윤활제의 선택 |
이상하중 |
끼워맞춤의 수정, 베어링 클리어런스 검토, 예압조정, 하우징 어깨위치의 수정 등 |
설치불량 |
축.하우징의 가공정도, 설치정도의 개선, 설치방법의 개선 |
끼워맞춤면의 크리프 밀봉장치의 마찰과대 |
끼워맞춤의 검토, 베어링 교환, 축.하우징의 수정, 밀봉형식의 수정 |
진동대 (축의 요동) |
브리넬링 |
베어링의 교환, 취급주의 |
플레이킹 |
베어링 교환 |
설치불량 |
축.하우징의 어깨의 직각도, 스페이셔 측면 직각도의 수정 |
이물의 침입 |
베어링 교환, 각 부품세정, 밀봉장치의 개선 등 |
윤활제,누유대 변색대 |
윤활제의 과다, 이물침입, 마모분의 발생,침입 |
윤활제 양의 적정화, 베어링 교환의 검토, 윤활제의 교환과 선정의 검토, 하우징 등의
세정 | |
베어링의 이상운전상태와 그 원인 대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