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증조제 윤활그리스의 증조제로서 각종 금속비누 외에 벤트나이트 등의 무기질증조제 또는 우레아 불소화합물 등의 내열성 유기질증조제가 사용된다. 증조제의 종류와 그리스의 적점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적점이 높은 그리스는 사용가능의 상한온도가 높다. 그러나 고적점증조제를 사용한 그리스라도, 기유의 내열성이 낮은 경우에는 그 상한 온도는 낮아진다. 그리스의 내수성은 증조제의 내수성에 의해 결정된다. 나트륨비누 그리스나 나트륨비누를 포함한 혼합기 그리스는 물이 튀는 곳이나 고온도의 사용부분에서는 유화되므로, 사용에 적당치 않다.
(3) 첨가제 그리스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방청제, 극압제등이 첨가되고 있다. 중하중이나, 충격하중을 받는 사용조건에서는, 극압첨가제가 들어간 그리스를 사용하고 또 장기간 그리스를 보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산화방지제가 들거간 그리스를 선정한다.
(4) 조도 조도는 그리스의 「부드러움」을 표시하는 값이며 사용중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기준이 된다. 다음 표는 그리스의 조도 번호, 조도와 사용조건과의 일반적 관계를 표시한다.
(5) 다른 그리스의 혼합 원칙적으로 제품명이 다른 그리스를 혼합해서는 안된다. 다른 종류의 증조제를 사용한 그리스를 혼합하면, 그리스 구조를 파괴할 수 있다. 또 증조제가 같은 종류의 그리스라도, 첨가제등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2 윤활유
베어링의 윤활유에는 내하중성능이 높고 산화안정성이 좋고, 방청성능이 좋은 고도정제광유 또는 합성유가 사용된다. 윤활유의 선정에 있어서는 운전온도에 있어 적정한 점도가 되는 오일의 선정이 우선 중요하다.
점도가 너무 낮으면 유막형성이 불충분해지고, 이상마모, 타붙음의 원인이 된다. 반대로 점도가 너무 높으면, 점성저항에 의해 발열하거나 동력손실을 크게 한다. 유막의 형성에는 베어링의 회전속도나 하중도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저점도유를 사용하고, 하중이 커질수록, 또는 베어링이 대형이 될 수록, 고점도의 윤활유를 사용한다. 보통의 사용조건에서 운전중의 베어링 주위 오일온도에 있어서는 다음 표에 표시하는 점도가 기준치가 된다.
오일의 교환주기 오일의 교환주기는 사용조건이나 유량 등에 의해 다르다. 일반적으로 운전온도가 50℃이하에서 먼지 등이 적은 양호한 환경 아래서 사용되는 경우는 1년에 1번 정도의 교환으로 좋다. 그러나 온도가 100℃정도 되는 경우에는 3개월마다 또는 그 이내에서 교환하도록 한다. 또 수분의 침입이 있는 경우나 오일급유윤활에서 이물질의 침입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더 교환의 주기를 짧게 할 필요가 있다. 명칭이 다른 윤활유의 혼합은 그리이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해야만 한다.